국도 제38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38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에서 시작하여, 경기도,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를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이다. 1971년 평택 ~ 정선선으로 지정된 이후 여러 차례 연장 및 변경을 거쳐 현재의 노선이 되었으며, 주요 경유지로는 태안, 서산, 당진, 평택, 안성, 이천, 음성, 충주, 제천, 영월, 정선, 태백, 삼척 등이 있다. 북부로와 강원남로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38호선 - 감곡 나들목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위치한 감곡 나들목은 2002년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 ~ 충주 구간 개통과 함께 개통되었으며 국도 제38호선과 접속하고, 개통 후 통행량이 증가하다 2015년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 - 국도 제38호선 - 제천 나들목
제천 나들목은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의 27번 교차로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8호선과 연결되는 클로버형 나들목이며 1995년 서제천 나들목으로 개통되어 2001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태백시의 교통 - 동백산역
동백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과 태백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분기점 역할을 하며 솔안터널을 통과하는 지상역이다. - 태백시의 교통 - 태백역
태백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태백선의 역으로, ITX-마음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제천, 원주, 청량리, 동해 방면 열차가 운행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영월군의 교통 - 영월역
영월역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며 영월 지역의 교통과 관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영월화력발전소로 연결되는 지선을 보유한 지상역이다. - 영월군의 교통 - 쌍룡역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에 위치한 쌍룡역은 태백선 철도역으로,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며, 역명은 인근 쌍용굴에서 유래했고, 2013년 복선 전철화 공사로 제천 기점이 변경되었다.
국도 제38호선 | |
---|---|
지도 정보 | |
노선 정보 | |
도로 종류 | 일반 국도 |
노선명 | 태안 ~ 동해선 |
노선 번호명 | 국도 제38호선 |
총연장 | 362.4 km |
기점 |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
주요 경유지 | 충청남도 태안군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당진시 충청남도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안성시 경기도 이천시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북도 제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단봉동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 평택파주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
기타 정보 | |
관리 기관 | 국토교통부 |
지정일 | 1971년 8월 31일 |
노선 길이 | 353.0 km |
2. 연혁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38호선''' 평택 ~ 정선선으로 지정되었다.[3] 1975년 10월 1일 중원군 산석면 원월리 14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4] 1977년 3월 15일에는 제천군 제천읍 고암리 1.6 km 구간이 개통되었다.[5] 1980년 2월 22일 영월군 남면 창원리 ~ 연당리 6.0 km 구간, 영월군 서면 쌍용리 ~ 남면 창원리 4.5 km 구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2.4 km 구간이 개통되었다.[6]
충청남도에서는 태안군 이원면에서 시작하여, 서산시 대산읍, 당진시 (석문면 · 송산면 · 송악읍 · 신평면)를 거쳐 아산시 인주면을 지나 아산만방조제를 통해 경기도로 연결된다.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1981년 3월 14일 종점이 '강원도 정선군 정선면'에서 '강원도 삼척군 삼척읍'으로 연장되면서 '평택 ~ 정선선'에서 '평택 ~ 삼척선'으로 변경되었다.[7] 같은 해 4월 13일 국도로 승격된 정선군 군남면 문곡리 ~ 삼척군 삼척읍 남양리 67 km 구간이 개통되었고,[8] 5월 30일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67 km 구간으로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9] 1986년 5월 13일 종점이 '강원도 삼척군 삼척읍'에서 '강원도 삼척시'로 변경되었다.[10]
1990년 10월 30일 종점이 '강원도 삼척시'에서 '강원도 동해시'로 연장되면서 '평택 ~ 삼척선'에서 '평택 ~ 동해선'으로 변경되었다.[11] 1995년 2월 11일 안성군 공도면 용두리 ~ 만정리 2.3 km 구간, 안성군 대덕면 건지리 ~ 보개면 가사리 7.1 km 구간이 개통되었다.[12]
1996년 7월 1일 시점이 '경기도 평택군 포승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연장되면서 '평택 ~ 동해선'에서 '서산 ~ 동해선'으로 변경되었다.[13] 같은 해 11월 11일 오남사거리 ~ 궁장 교차로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 ~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 구간이 개통되었다.[14] 1997년 4월 7일 평택시 포승면 만호리의 만호교 1.056 km 구간이 폐지되었고,[15] 5월 7일 평택시 포승면 내기리 ~ 팽성읍 신궁리 21 km 구간이 개통, 평택시 오성면 죽성리 ~ 숙성리 1.15 km 구간이 폐지되었다.[16] 8월 23일 안성 ~ 일죽간 도로(안성군 보개면 동신리 ~ 일죽면 월정리) 17.3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6 km 구간은 폐지되었다.[17]
1998년 7월 2일 만호 ~ 안중간 도로(평택시 포승면 만호리 ~ 내기리) 3.21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3.21 km 구간은 폐지되었다.[18] 9월 24일 충청북도 제천시 신동 ~ 송학면 무도리 15.6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19] 12월 7일 둔포 ~ 평택간 도로(평택시 팽성읍 평궁리 ~ 합정동) 4.65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5.3 km 구간은 폐지되었으며,[20] 12월 10일 당왕고가차도(안성시 당왕동) 700m 구간이 개통되었다.[21] 12월 31일 일죽 ~ 장호원간 도로(안성시 일죽면 월정리 ~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 16.26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6.28 km 구간은 폐지되었다.[22]
2000년 4월 11일 둔포 ~ 평택간 도로(평택시 팽성읍 신궁리 ~ 합정동) 4.65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3] 12월 31일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 주포리 3.98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4.54 km 구간은 폐지되었다.[24] 2001년 5월 9일 충청북도 제천시 동현동 ~ 강원도 영월군 서면 쌍용리 13.5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1.557 km 구간은 폐지되었다.[25] 11월 1일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 태백시 삼수동 14.33 km 구간 및 두문동재터널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7.37 km 구간은 폐지되었다.[26]
2002년 5월 30일 제천시 신동 ~ 송학면 무도리 15.6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27] 7월 11일 당진군 신평면 매산리 ~ 가곡리 16.1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28]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29] 12월 24일 충주시 앙성면 능암리 ~ 산척면 영덕리 12.56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7.25 km 구간은 폐지되었다.[30] 2003년 11월 20일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 충주시 앙성면 능암리 15.25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31] 12월 29일 충주시 산척면 송강리 ~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 9.96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32]
2004년 10월 7일 영월군 서면 쌍용리 (강원도·충청북도계) ~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 32.17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33] 12월 31일 영월군 서면 쌍용리 ~ 영월읍 덕포리 19.87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서면 쌍용리 ~ 남면 창원리 4.5 km 구간은 폐지되었다.[34] 2005년 1월 5일 두문동재터널 2차 공사(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 태백시 화전동) 4.6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35] 2월 11일과[36] 4월 2일[37] 삼척시 신기면 마차리 ~ 천기리 2.2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 6월 3일 평택시 팽성읍 신궁리 ~ 고덕면 동고리 5.19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38]
2007년 1월 10일 사북 ~ 고한간 도로(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 고한읍 고한리) 구간 8.19 km가 확장 개통되었다.[39] 2008년 1월 18일 미로 ~ 삼척간 도로(삼척시 미로면 상정리 ~ 등봉동) 7.9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8.9 km 구간은 폐지되었다.[40] 12월 18일 신동 ~ 문곡간 도로(정선군 신동읍 예미리 ~ 남면 문곡리) 구간 11.0 km가 확장 개통되었다.[41] 2009년 12월 24일 문곡 ~ 사북간 도로(정선군 남면 문곡리 ~ 사북읍 사북리) 구간 10.6 km가 확장 개통되었다.[42]
2012년 5월 30일 유량 교차로(충주시 앙성면 용대리 ~ 본평리) 1.8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43] 2015년 9월 24일 대산 ~ 석문 ~ 가곡간 도로(당진시 석문면 통정리 ~ 송산면 가곡리) 9.28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6 km 구간은 폐지되었다.[44][45] 2016년 12월 16일 태백 ~ 삼척간 도로(태백시 통동 ~ 삼척시 도계읍 늑구리 ~ 신기면 마차리 19.1 km 구간과 삼척시 신기면 마차리 ~ 미로면 하정리 6.2 km)가 확장 개통되고, 기존 삼척시 도계읍 흥전리 ~ 마교리 3.19 km 구간과 삼척시 도계읍 고사리 ~ 신기면 마차리 5.5 km, 삼척시 신기면 안의리 ~ 미로면 하정리 7.5 km 구간은 폐지되었다.[46][47] 12월 30일 서산 ~ 황금산간 도로(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1.86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고,[48][49] 대산 ~ 석문간 도로(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 당진시 석문면 삼봉리) 10.66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으며, 기존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2.59 km 구간과 당진시 석문면 삼봉리 ~ 통정리 4 km 구간은 폐지되었다.[50]
2021년 6월 22일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에서 태안군 이원면 내리로 연장하면서 '서산 ~ 동해선'에서 '태안 ~ 동해선'으로 변경되었다.[51] 2023년 5월 22일 제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 도화 ~ 송학간 도로(제천시 송학면 도화리 도화교차로 ~ 무도리 송학교차로 1.1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52]
3. 주요 경유지
경기도에서는 평택시 (현덕면 · 포승읍 · 안중읍 · 오성면 · 고덕면 · 신대동 · 팽성읍 · 군문동 · 합정동 )를 거쳐 안성시 (공도읍 · 대덕면 · 신건지동 · 신모산동 · 신소현동 · 당왕동 · 가사동 · 보개면 · 삼죽면 · 죽산면 · 일죽면)와 이천시 (설성면 · 장호원읍)를 지난다.
충청북도에서는 음성군 감곡면에서 시작하여 충주시 (앙성면 · 중앙탑면 · 엄정면 · 금가면 · 엄정면 · 산척면)와 제천시 (백운면 · 봉양읍 · 신동 · 천남동 · 강제동 · 명지동 · 강제동 · 고명동 · 두학동 · 흑석동 · 송학면)를 통과한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는 영월군 (한반도면 · 남면 · 한반도면 · 남면 · 영월읍 · 중동면)에서 시작하여, 정선군 (신동읍 · 남면 · 사북읍 · 고한읍), 태백시 (화전동 · 황지동 · 통동), 삼척시 (도계읍 · 신기면 · 미로면 · 마평동 · 도경동 · 등봉동)를 거쳐 동해시 단봉동에 이른다.
4. 노선
서산시 대산읍에서 황금산 교차로를 통해 독곶해변길과 교차하고, 국도 제29호선과 중복된다.[53] 황금산1 교차로, 황금산2 교차로, 독곶2 교차로, 독곶1 교차로를 거쳐 명지사거리에서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77호선, 충의로와 교차한다.[53] 이후 화곡 교차로에서 국도 제29호선 (평신1로)과 다시 교차하고, 반곡 교차로, 화곡터널, 삼길포 교차로를 지나 당진시로 진입한다.
당진시 석문면에서는 대호방조제를 지나 도비도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5호선 (대호만로)과 교차한다.[53] 대호 교차로, 초락 교차로, 삼봉 교차로(지방도 제647호선 분기), 석문 교차로(지방도 제615호선 분기)를 거쳐 통정1 교차로, 평장 교차로, 새터 교차로를 지난다.[53] 송산면에서는 석문대교, 무수 교차로, 가곡 교차로 (지방도 제633호선 분기), 동곡 교차로, 송산 교차로를 거친다.[53] 송악읍에서는 현대제철 교차로, 고대 교차로, 고대공단 교차로, 한진 교차로 (지방도 제619호선 분기), 부곡 교차로, 송악 나들목 (서해안고속도로 분기점)을 지난다.[53] 신평면에서는 법석이 교차로, 운정 나들목 (국도 제34호선 분기점), 운정 교차로, 삽교대교, 삽교 교차로, 삽교천방조제를 거쳐 아산시로 진입한다.[53]
아산시 인주면에서는 문방 교차로, 인주공단 교차로 (지방도 제623호선 분기), 밀두 교차로, 인주초등학교, 공세 교차로, 입체 교차로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9호선, 장영실로, 아산로 분기), 아산호 교차로를 거쳐 아산만방조제에 이른다.[53] 아산만방조제는 김대중 정부 시절 건설되었으며,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
아산만방조제에서 서동대로와 연결되며, 평택시 현덕면에 들어선다. 현덕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서해로)과 분기된 후, 포승읍에서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의 포승 나들목과 교차한다. 이후 만호사거리에서 평택항로 및 평택항만길과 교차하고, 내기삼거리와 포승중학교를 지나 국도 제77호선 및 국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과 만난다. 안중읍에서는 평택시청 안중출장소를 지나 안중오거리에서 안중로 및 안현로와 교차하며, 안중사거리에서 국도 제39호선 (서해로)과 다시 만난다.
오성면에서는 오성 나들목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와 국도 제43호선 (세종평택로)을 통해 연결된다. 고덕면에서는 고덕 교차로를 통해 국도 제45호선 (남북대로)과 교차하며, 이후 국도 제45호선과 중복 구간을 형성한다. 원평동과 팽성읍을 거쳐 신평동에서 비전지하차도사거리를 통해 국도 제1호선 (경기대로)과 교차한다.
안성시 공도읍에서는 경부고속도로의 안성 나들목과 연결되고, 만정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02호선 (덕봉서원로, 공도4로)과 교차한다. 대덕면에서는 중앙대학교를 지나 모산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공단로, 만세로)과 만난다. 안성동에서는 안성맞춤 나들목에서 세종포천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삼죽면에서는 동아방송예술대학교를 지나, 죽산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되며, 죽산 교차로에서 국도 제17호선 및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죽양대로, 송문주로)과 교차한다.
일죽면에서는 중부고속도로의 일죽 나들목과 연결된다. 이후 이천시 설성면을 거쳐 장호원읍의 진암 나들목에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7호선 (중원대로)과 교차하며, 진암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 (장감로, 경충대로)과 분기된다.
평택시 구간은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 공장들을 통과하며,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동시에 대기업 중심 경제 구조 심화라는 양면성을 가진다.
음성군 감곡면 장호원교에서 시작하여 감곡사거리는 음성로 및 장감로와 교차하고, 궁장 교차로에서 가곡로와 교차한다. 감곡 나들목에서는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교차한다.[53] 이후 충주시 앙성면으로 진입하여 앙성 교차로에서 다시 가곡로와 교차한다. 중앙탑면에서는 가흥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99호선 (첨단산업로)과 교차하고, 목계대교를 건너 엄정면으로 이어진다. 엄정면에서는 율능 교차로에서 김생로와 교차한다. 산척면에서는 하영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 (충원대로) 및 구룡로와 교차하고, 송강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31호선 (천등박달로)과 교차한다.[53]
이후 다릿재터널(약 1500m)을 지나 제천시 백운면으로 진입한다. 평동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597호선 (애련로)과 교차하며, 박달재터널(약 1960m)을 지나 봉양읍으로 이어진다. 장평삼거리에서는 국도 제5호선 (제원로)과 중복된다. 제천 나들목에서는 중앙고속도로와 교차한다.[53]
신동 교차로에서 내토로 및 제천북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5호선과 중복 구간은 계속된다. 명지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청풍호로)과 교차하고, 고명 교차로에서 국도 제5호선 (단양로)과 분기하여 국도 제5호선 중복 구간이 끝난다. 송학면에서는 송학 나들목에서 내토로 및 도화 ~ 송학간 도로와 교차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간접 연결된다. 이후 느릅재터널(약 470m)을 지난다.[53]
박정희 정권 시절 건설된 박달재터널은 당시 경제 개발의 상징으로 여겨졌지만, 환경 파괴 논란도 있었다.
국도 제38호선은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을 통과하며, 각 지역마다 다양한 교차로와 터널이 존재한다.
영월군에서는 느릅재터널(상행 440m, 하행 470m)을 시작으로, 쌍용 교차로, 연당 교차로, 영월 교차로, 동영월 교차로를 거친다. 특히 연당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59호선 및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된다. 동영월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1호선과 중복되며, 석항 교차로까지 이어진다.
정선군에서는 신동 교차로, 문곡 교차로, 민둥산 교차로, 사북 교차로, 고한 교차로를 지난다. 문곡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59호선과 중복되고, 민둥산 교차로, 사북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과 중복된다.
태백시에서는 두문동재터널(상행 1,363m, 하행 2,470m)을 지나 화전사거리에서 국도 제35호선과 중복된다. 황지교사거리에서 다시 국도 제35호선과 교차하고, 통리삼거리에서 지방도 제427호선과 만난다.
삼척시에서는 흥전 교차로, 도계 교차로, 마차 교차로, 하정 교차로, 도경 교차로를 거쳐 동해시 단봉삼거리에서 국도 제7호선과 만나며 끝난다. 특히 하정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과 중복된다.
이 도로는 과거 석탄 산업의 중심지였던 폐광 지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4. 1.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에서 황금산 교차로를 통해 독곶해변길과 교차하고, 국도 제29호선과 중복된다.[53] 황금산1 교차로, 황금산2 교차로, 독곶2 교차로, 독곶1 교차로를 거쳐 명지사거리에서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77호선, 충의로와 교차한다.[53] 이후 화곡 교차로에서 국도 제29호선 (평신1로)과 다시 교차하고, 반곡 교차로, 화곡터널, 삼길포 교차로를 지나 당진시로 진입한다.
당진시 석문면에서는 대호방조제를 지나 도비도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5호선 (대호만로)과 교차한다.[53] 대호 교차로, 초락 교차로, 삼봉 교차로(지방도 제647호선 분기), 석문 교차로(지방도 제615호선 분기)를 거쳐 통정1 교차로, 평장 교차로, 새터 교차로를 지난다.[53] 송산면에서는 석문대교, 무수 교차로, 가곡 교차로 (지방도 제633호선 분기), 동곡 교차로, 송산 교차로를 거친다.[53] 송악읍에서는 현대제철 교차로, 고대 교차로, 고대공단 교차로, 한진 교차로 (지방도 제619호선 분기), 부곡 교차로, 송악 나들목 (서해안고속도로 분기점)을 지난다.[53] 신평면에서는 법석이 교차로, 운정 나들목 (국도 제34호선 분기점), 운정 교차로, 삽교대교, 삽교 교차로, 삽교천방조제를 거쳐 아산시로 진입한다.[53]
아산시 인주면에서는 문방 교차로, 인주공단 교차로 (지방도 제623호선 분기), 밀두 교차로, 인주초등학교, 공세 교차로, 입체 교차로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9호선, 장영실로, 아산로 분기), 아산호 교차로를 거쳐 아산만방조제에 이른다.[53] 아산만방조제는 김대중 정부 시절 건설되었으며,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
4. 2. 경기도
아산만방조제에서 서동대로와 연결되며, 평택시 현덕면에 들어선다. 현덕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서해로)과 분기된 후, 포승읍에서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의 포승 나들목과 교차한다. 이후 만호사거리에서 평택항로 및 평택항만길과 교차하고, 내기삼거리와 포승중학교를 지나 국도 제77호선 및 국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과 만난다. 안중읍에서는 평택시청 안중출장소를 지나 안중오거리에서 안중로 및 안현로와 교차하며, 안중사거리에서 국도 제39호선 (서해로)과 다시 만난다.
오성면에서는 오성 나들목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와 국도 제43호선 (세종평택로)을 통해 연결된다. 고덕면에서는 고덕 교차로를 통해 국도 제45호선 (남북대로)과 교차하며, 이후 국도 제45호선과 중복 구간을 형성한다. 원평동과 팽성읍을 거쳐 신평동에서 비전지하차도사거리를 통해 국도 제1호선 (경기대로)과 교차한다.
안성시 공도읍에서는 경부고속도로의 안성 나들목과 연결되고, 만정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02호선 (덕봉서원로, 공도4로)과 교차한다. 대덕면에서는 중앙대학교를 지나 모산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공단로, 만세로)과 만난다. 안성동에서는 안성맞춤 나들목에서 세종포천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삼죽면에서는 동아방송예술대학교를 지나, 죽산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되며, 죽산 교차로에서 국도 제17호선 및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죽양대로, 송문주로)과 교차한다.
일죽면에서는 중부고속도로의 일죽 나들목과 연결된다. 이후 이천시 설성면을 거쳐 장호원읍의 진암 나들목에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7호선 (중원대로)과 교차하며, 진암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 (장감로, 경충대로)과 분기된다.
평택시 구간은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 공장들을 통과하며,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동시에 대기업 중심 경제 구조 심화라는 양면성을 가진다.
4. 3.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장호원교에서 시작하여 감곡사거리는 음성로 및 장감로와 교차하고, 궁장 교차로에서 가곡로와 교차한다. 감곡 나들목에서는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교차한다.[53] 이후 충주시 앙성면으로 진입하여 앙성 교차로에서 다시 가곡로와 교차한다. 중앙탑면에서는 가흥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99호선 (첨단산업로)과 교차하고, 목계대교를 건너 엄정면으로 이어진다. 엄정면에서는 율능 교차로에서 김생로와 교차한다. 산척면에서는 하영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 (충원대로) 및 구룡로와 교차하고, 송강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31호선 (천등박달로)과 교차한다.[53]
이후 다릿재터널(약 1500m)을 지나 제천시 백운면으로 진입한다. 평동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597호선 (애련로)과 교차하며, 박달재터널(약 1960m)을 지나 봉양읍으로 이어진다. 장평삼거리에서는 국도 제5호선 (제원로)과 중복된다. 제천 나들목에서는 중앙고속도로와 교차한다.[53]
신동 교차로에서 내토로 및 제천북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5호선과 중복 구간은 계속된다. 명지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청풍호로)과 교차하고, 고명 교차로에서 국도 제5호선 (단양로)과 분기하여 국도 제5호선 중복 구간이 끝난다. 송학면에서는 송학 나들목에서 내토로 및 도화 ~ 송학간 도로와 교차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간접 연결된다. 이후 느릅재터널(약 470m)을 지난다.[53]
박정희 정권 시절 건설된 박달재터널은 당시 경제 개발의 상징으로 여겨졌지만, 환경 파괴 논란도 있었다.
4. 4. 강원특별자치도
국도 제38호선은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을 통과하며, 각 지역마다 다양한 교차로와 터널이 존재한다.
영월군에서는 느릅재터널(상행 440m, 하행 470m)을 시작으로, 쌍용 교차로, 연당 교차로, 영월 교차로, 동영월 교차로를 거친다. 특히 연당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59호선 및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된다. 동영월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1호선과 중복되며, 석항 교차로까지 이어진다.
정선군에서는 신동 교차로, 문곡 교차로, 민둥산 교차로, 사북 교차로, 고한 교차로를 지난다. 문곡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59호선과 중복되고, 민둥산 교차로, 사북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과 중복된다.
태백시에서는 두문동재터널(상행 1,363m, 하행 2,470m)을 지나 화전사거리에서 국도 제35호선과 중복된다. 황지교사거리에서 다시 국도 제35호선과 교차하고, 통리삼거리에서 지방도 제427호선과 만난다.
삼척시에서는 흥전 교차로, 도계 교차로, 마차 교차로, 하정 교차로, 도경 교차로를 거쳐 동해시 단봉삼거리에서 국도 제7호선과 만나며 끝난다. 특히 하정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과 중복된다.
이 도로는 과거 석탄 산업의 중심지였던 폐광 지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5.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으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 등은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 총연장 (km) | 차로수 | 지정일 | ||
---|---|---|---|---|---|
북부로 | 충청북도 제천시 신동(신동 교차로) |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무도리(송학 나들목) | 15.6 | 4 | 1998년 9월 24일 |
강원남로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한반도면 쌍용리(느릅재터널)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신동 교차로) | 32.17 | 4 | 2004년 10월 7일 |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4]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10호
http://theme.archive[...]
1975-10-01
[5]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29호
http://theme.archive[...]
1977-03-15
[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호
http://theme.archive[...]
1980-02-22
[7]
법률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8]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3호
http://theme.archive[...]
1981-04-13
[9]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1호
http://theme.archive[...]
1981-05-30
[10]
법률
대통령령 제11899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6-05-13
[11]
법률
대통령령 제13154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0-10-30
[1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7호
http://theme.archive[...]
1995-02-11
[13]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4]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1996-181호
http://www.gg.go.kr/[...]
1996-11-11
[1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1997-64호
http://www.gg.go.kr/[...]
1997-04-07
[1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101호
http://theme.archive[...]
1997-05-17
[17]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208호
http://theme.archive[...]
1997-08-29
[1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421호
http://theme.archive[...]
1998-08-05
[19]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8-407호
http://theme.archive[...]
1998-09-24
[2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671호
http://theme.archive[...]
1998-12-17
[2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709호
http://theme.archive[...]
1999-01-02
[2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2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23]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00호
http://theme.archive[...]
2000-04-11
[2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301호
http://gwanbo.mois.g[...]
2001-01-08
[2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98호
http://gwanbo.mois.g[...]
2001-06-02
[2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28호
http://gwanbo.mois.g[...]
2001-11-09
[27]
간행물
제천시공고 제2002-414호
http://gwanbo.mois.g[...]
2002-06-04
[2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54호
http://gwanbo.mois.g[...]
2002-07-11
[2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55호
http://gwanbo.mois.g[...]
2002-07-11
[3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04호
http://gwanbo.mois.g[...]
2002-12-31
[3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314호
http://cblib.cb21.ne[...]
2003-12-26
[3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1호
http://cblib.cb21.ne[...]
2004-01-09
[3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78호
http://gwanbo.mois.g[...]
2004-10-07
[34]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105호
http://www.provin.ga[...]
2005-01-07
[35]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104호
http://www.provin.ga[...]
2005-01-07
[3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6호
http://www.provin.ga[...]
2005-02-11
[3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9호
http://www.provin.ga[...]
2005-04-02
[3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44호
http://gwanbo.mois.g[...]
2005-06-15
[39]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2호
http://wcmo.molit.go[...]
2007-01-10
[40]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8호
http://www.provin.ga[...]
2008-01-24
[41]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88호
http://wcmo.molit.go[...]
2008-12-18
[42]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87호
http://wcmo.molit.go[...]
2009-12-24
[4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31호
http://gwanbo.mois.g[...]
2012-06-05
[4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153호
http://gwanbo.mois.g[...]
2015-09-23
[4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5호
http://gwanbo.mois.g[...]
2016-01-25
[4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80호
http://gwanbo.mois.g[...]
2016-12-20
[4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87호
http://gwanbo.mois.g[...]
2017-01-04
[4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89호
http://gwanbo.mois.g[...]
2016-12-30
[4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65호
http://gwanbo.mois.g[...]
2017-06-13
[5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95호
http://gwanbo.mois.g[...]
2017-01-02
[5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77호
https://gwanbo.go.kr[...]
2021-06-22
[5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3-126호
https://gwanbo.go.kr[...]
2023-05-19
[53]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